[뉴스포커스] 발사대로 간 누리호…이시각 나로우주센터<br /><br /><br />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이송작업이 오늘 오전부터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 이시각 누리호 진행상황은 어떤지 현장 스튜디오에 있는 저희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-팽재용 기자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 여기는 고흥 나로우주센터입니다.<br /><br />저희 취재진은 어제부터 이곳에서 누리호 관련한 소식을 신속히 전해드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팽재용 기자, 원래대로면 오늘이 발사 예정일인데 강풍으로 발사일이 하루 미뤄졌잖아요?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누리호 발사를 얼른 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였었는지 발사 하루 연기라는 소식을 접하고 좀 아쉽긴 했는데요, 그 심정은 어제 항우연 관계자들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맞습니다. 사실 어제도 저희가 이송 하루 연기됐다는 소식과 함께 항우연 관계자에게 설명을 들었을땐, 발사체 문제보단 순수하게 바람이 문제였기 때문에, 또 그 바람이 발사체를 아예 옮기지 못할 정도의 세기까지는 아니었기 때문에 강행하려면 할 수 있었지만 작업자들의 안전 문제를 고려했다고 했죠?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네, 오늘 내일은 어제보단 날씨 상황이 낫기도 하니까 굳이 위험을 무릅쓰고 작업하는 것보단 침착하게 하자..이렇게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어제 오후 항우연에서 다시 회의를 열어 오늘 예정대로 진행가능하단 결론을 내렸고 오늘 오전부터 이송작업이 시작됐죠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, 이송작업 오전 7시 20분부터 시작됐는데요, 지금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팽기자가 설명해주시죠.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것처럼 누리호 이송작업 7시 20분부터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완성된 누리호를 조립동에서 꺼내는 '롤아웃'이 진행됐고요, 조심조심 무진동 차량에 실려 발사장에 도착했습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누리호를 기립하고 나서 바로 발사준비에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.<br /><br />누리호에 추진제 등을 공급할 엄빌리칼 타워를 연결해야 하고 그게 잘 연결됐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한데, 그것만으로 사실 하루가 간다고 봐야겠죠?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 고도의 정밀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해요.<br /><br />이게 소위 누리호에 탯줄을 연결하는 일이라고 비유를 하던데, 그만큼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, 오늘 오후에 누리호 기립 이후 안전 통제 현황에 대한 설명회가 있을 예정인데요, 그 때 조금 더 자세하게 저희 채널을 통해서 지금까지의 상황 설명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.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또 내일 예정대로라면 드디어 누리호 2차 발사가 있게 됩니다.<br /><br />지금으로서는 오후 4시 정도로 예상되고 있죠?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 발사시간은 발사 준비나 운용 상황 등을 고려해 오후로 결정합니다.<br /><br />보통 오후 3시에서 7시 사이가 무난한 시간대라고 하는데요.<br /><br />발사 당일의 기상상황은 물론 누리호가 우주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지도 분석해 최종적인 발사시각이 확정됩니다.<br /><br />작년에는 오후 4시로 예정됐다가 발사대 하부 시스템과 밸브 점검에 추가적인 시간이 걸려 한시간 미뤄진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사실 내일 발사한다고 하지만 정확하게는 내일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해야 맞을 정도로, 발사체 발사까지는 많은 변수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정확한 발사시각은 그런 점들을 모두 고려해서 내일 오후에 확정 발표될 예정인데요.<br /><br />또 연기되는 일 없이 무사히 계획대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<br /><br />자 이번엔 누리호 발사체에 대한 이야기를 좀 나눠볼텐데요, 김 기자 이번엔 진짜 위성이 실린다고 하던데 지난 1차때와 뭐가 많이 다른가요?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 이번엔 진짜 위성이 실립니다.<br /><br />실제 일부기능을 할 수 있는 위성을 싣고 날아가는 건데요, 작년 1차때는 진짜 위성은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위성 모사체라고 하는데 쉽게 말해 쇳덩이를 싣고 간거였습니다.<br /><br />누리호 개발 목적이 1.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발사체 성능을 검증하는 것인 만큼 1.5톤의 쇳덩이를 투입한거였는데, 그래도 이번엔 두번째 발사체인만큼, 또 보다 더 발사 성공 가능성 높아진 만큼 좀 더 의미가 있는 것을 실어보자, 이런 취지에서 성능검증위성이 투입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네, 이번 발사가 성공하면 또다른 위성들도 더 많이 만들어서 누리호에 실어 발사하는, 고도화 사업도 이어지는데, 그런 연장선상이라고 이해하면 쉽겠네요.<br /><br />성능검증위성이라는 걸 취재하다보니까 그 안에 또 작은 위성들이 4개가 더 들어가 있더라고요.<br /><br />큐브위성이라고 하던데 이건 우리 국내 대학에서 만든 것이잖아요, 이거 만든 대학생들 김기자가 취재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, 어떠셨나요?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 여기 나로우주센터 오기 전에 이번 누리호에 대한 소식들 전하면서 취재한 기억이 있는데요, 아무래도 우리가 만든 발사체에 자신들이 만든 위성을 처음으로 실어본다는 데 기대감이 큰것 같더라고요.<br /><br />과거에도 위성을 안 만들어본것은 아니지만, 보통 외국 로켓에 의존했고 또 그렇다보니 로켓이 우리가 원할때 발사할 수 있는 게 아니어서 여러 아쉬운점이 많았다고 하던데요, 그런 이야기들을 듣다보면 이번 2차 발사는 꼭 성공했으면 하는 바람 저도 자연스럽게 갖게 되더라고요.<br /><br />[팽재용 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누리호는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발사체여서 한국형발사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, 그렇기 때문에 지난 1차 발사에서 실패한 원인도 우리 데이터를 모두 확보해서 보완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나로호 때는 러시아 기술진과 협력은 했지만 실패 원인 규명까지는 정확한 기술정보를 받지 못한 탓에 어려웠다고 하는데 그때에 비하면 우리 기술이 한층 더 성장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저희는 오후에 다시 누리호 관련한 대담으로 찾아뵙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나로우주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